메뉴 건너뛰기

몬트리올 한인연합교회

.

목양 칼럼

감사는 빠르게, 넘치도록

김진식2013.10.29 07:37조회 수 3505댓글 0

  • 1
    • 글자 크기

감사는 빠르게, 넘치도록

 

                     

우리는 살면서 속히 할 것과 더디게 할 것이 있다. 더뎌야 한다는 것은 그만큼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말이다.
아니면 일을 그르치기 십상이다. 말하기와 성내기가 이에 해당한다(야고보서 1: 19). 물론 우리 인생사에 대부분의 일들이 그럴 것이다. 그러나 빠르면 빠를 수록 좋은 것도 있다. 
 
듣기가 그렇다. “내 사랑하는 형제들아 너희가 알거니와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하라”(야고보서 1: 19). 화해가 그렇다. “먼저 가서 형제와 화목하고 그 후에 와서 예물을 드리라. 너를 송사하는 자와 함께 길에 있을 때에 급히 사화하라”(마태복음 5: 24-25a). 전도도 그렇다. 십자가에 달려 죽은 예수님이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셨다는 이 기쁜 소식을 ‘빨리’ 가서 전하라 하셨다(마태 28: 7). 부활의 주님을 전하는 것은 죽음의 길로 가는 영혼을 살리느냐 마느냐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한가지 더한다면 ‘감사’가 그렇다. ‘감사’ 역시 빠르면 빠를 수록 좋다. 그러면 감사할 일이 더 생기는 법이다.
  
벌써 오래전 일이다. 친구 아이 돌잔치가 있어서 아이가 정말 좋아할 만한 것을 정성껏 골라 선물을 한 적이 있다. 그리고 나서 여러번 만났는데, 이 친구가 ‘고맙다’는 말 한마디를 하지 않는 것이었다. 꼭 그 말을 듣고자 한 일은 아니었지만, 이십여년이 지난 지금도 생각이 나는 걸 보면 그 때 많이 섭섭했던 모양이다. 
월요일 아침, 딸 아이로부터 문자가 왔다. 집에 숙제(assignment) 한 걸 두고 왔다는 것이다. 시간에 맞춰 숙제를 들고 학교 건물 앞에서 기다렸다. 약속한 시간이 지났다. 건물 안으로 올라가 볼까 했지만 혹시나 어긋나면 안되겠기에 계속 기다렸다. 마침내 딸 아이가 보였다. 반갑게 숙제를 건네주는 순간, ”왜 6층으로 올라오지 않았어!” 하고 목소리를 높히고는 숙제를 받아채갔다. 그리고 나는 아이의 등 뒤에 대고, “Thank you 는 해야지?” 하고 소리쳤다. 
마침 쉬는 날이라 딸아이 일을 도와줄 수 있어서 다행이다 싶었지만, 그래도 좀 서운하고 아쉬웠다.
‘짜~식, 최소한 고맙다는 말은 먼저 해야 하는 거 아냐?’ 이렇게 속으로 투덜데는데, 바로 그 때, 딸 아이로부터 문자가 왔다.

 
‘그럼 그렇지. 바쁘고 쫓겨서 그랬겠지.’ 팔은 안으로 굽는다고, 좋은 쪽으로 생각하고 돌아오는데, 문자 하나에 이내 서운함은 사라져 버리고 온데간데 없었다. 늦게라도 말해주니 좋았다. “아이 참, 목사님이 뭐 그런 걸 가지고 그래요? 유치하게…” 아무도 없는데, 누군가 그러는 것 같다. 그래도 들으니까 좋았다. 유치해 보여도 좋았다. 
빠르면 빠를 수록 좋았을 한 마디, 그러나 늦게라도 여전히 마음을 풀어 주는 말 한마디. 천만번 더 들어도 기분 좋은 말, “고맙습니다!” 오늘 나를 행복하게 하는 한 마디, “아빠 고마워!!”
‘그런데..... 짜~식, 왜 느낌표(!)가 두개 뿐이지? 하나만 더 쓰지. 그럼 더 좋을 텐데…. 아하! 그래서 감사는 넘치게 하라는 것이로구나!’ 다시 한번 깨달았다.
 
 “그러므로 너희가 그리스도 예수를 주로 받았으니….. 감사함을 넘치게 하라”(골로새서 2: 6-7) 
 
이제 곧 추수 감사절이다. 올해는 이전 보다 감사함을 더 넘치게 해야겠다.
 
“하나님 감사합니다!!!!!!!!!!”
 
 
  • 1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61 Day 7. 하나님은 당신과 사랑의 관계를 원하신다. 관리자 4112
60 Day. 8 이해할 수 없는 사랑 관리자 3940
59 마음의 협심증에서 벗어나야… 김진식 5246
58 하나님과 함께 시작되는 인생(사순절 특새 1) 김진식 3159
57 당신은 우연한 존재가 아닙니다(사순절 특새 2) 김진식 4009
56 당신의 삶을 이끄는 것은 무엇인가?(사순절 특새 3) 김진식 3877
55 영원한 존재로 창조된 당신(사순절 특새 4) 김진식 2555
54 하나님의 눈으로 삶을 바라보기(사순절 특새 5) 김진식 3693
53 땅 위의 삶은 일시적인 것입니다(사순절 특새 6) 김진식 8266
52 모든 것의 존재 이유(사순절특새 7) 김진식 2676
51 하나님의 기쁨을 위한 존재(사순절 특새 8) 김진식 2972
50 하나님을 미소 짓게 하는 삶(사순절 특새 9) 김진식 3672
49 심장이 살아 있는 예배(사순절특새 10) 김진식 2827
48 하나님의 친구 되기(사순절특새 11) 김진식 5548
47 하나님과 더욱 친밀해 지기(사순절특새 12) 김진식 4646
46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예배(사순절특새 13) 김진식 4944
45 하나님이 멀게 느껴질 때(사순절특새 14) 김진식 6874
44 하나님의 한가족으로 지음 받다(사순절특새 15) 김진식 5671
43 가장 중요한 것(사순절 특새 16) 김진식 2465
42 우리가 있어야 할 자리(사순절특새 17) 김진식 3037
첨부 (1)
아빠 고마워.png
7.2KB / Download 59
위로